커뮤니티
COMMUNITY

no.10145

국립현대미술관, ‹다다익선› 재가동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백남준 ‹다다익선›의 보존·복원 3개년 사업을 완료하고 2022년 9월 15일(목) 점등 및 재가동을 진행한다.

‹다다익선›은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 등 국가적 행사와 맞물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건축 특성에 맞게 기획·제작된 상징적 작품이다. 총 1,003대의 브라운관(CRT) 모니터가 활용되어 백남준 작품 중 최대 규모이며, 지난 2003년 모니터를 전면 교체하는 등 약 30년 동안 수리를 반복해오다 2018년 2월 전면적인 보존·복원을 위해 가동을 중단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국내·외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2019년 9월 「다다익선 보존·복원 3개년 계획」을 마련하고 ‘작품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되 불가피한 경우 일부 대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3년의 기간을 거쳐 ‹다다익선› 보존·복원 사업을 완료하였다.

보존·복원은 ① 1,003대 브라운관(CRT) 모니터 및 전원부 등에 대한 정밀진단 후 ② 중고 모니터 및 부품 등을 수급하여 손상된 모니터 737대를 수리·교체하였고, ③ 더 이상 사용이 어려운 상단 6인치 및 10인치 브라운관 모니터 266대는 기술 검토를 거쳐 모니터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평면 디스플레이(LCD)로 제작·교체하였다. 또 ④ 냉각설비 등 작품의 보존환경을 개선하고, ⑤ 8개의 영상작품을 디지털로 변환·복원하여 영구적인 보존을 도모하였다. 보존 처리 완료 후 ⑥ 6개월간 ‹다다익선›의 시험 운전을 통해 가동 시간별 작품 노후화 정도 등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⑦ 향후 운영방안 및 중장기 보존 방향을 마련하였다.

현재 ‹다다익선›을 설치한 후 30년 이상 경과함에 따라 관련 기자재의 생산이 중단되고 중고 제품도 소진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다다익선›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 및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양질의 중고 제품을 수급·진단·수리·사용하고 있으나, 수리에 사용된 중고 제품도 마찬가지로 생산된 지 적게는 수 년, 많게는 십수 년이 지나 언제든 수명을 다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립현대미술관은 ‹다다익선›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가동시간을 주 4일, 일 2시간(잠정)으로 정하되 작품 상태를 최우선으로 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앞으로도 수시 점검과 보존 처리, 대체 디스플레이 적용성 검토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3년간의 ‹다다익선› 보존·복원 과정을 담은 백서를 2023년 발간하여 미디어아트 보존 처리 관련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다다익선›이 최초 제막했던 1988년 9월 15일을 기념하여 개최되는 9월 15일 점등 및 재가동 기념행사에는 1988년 진행된 제막식을 새롭게 해석한 퍼포먼스 공연(한국예술종합학교 최준호 교수, 창작그룹 노니, VOM Lab 참여)이 펼쳐질 예정이며, 재가동 기념 퍼포먼스는 국립현대미술관 유튜브(youtube.com/MMCAKorea)를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되고 전 세계 누구나 접속 가능하다.

아카이브 기획전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

재가동을 기념하여 ‹다다익선›의 설치 배경부터 완공, 현재까지 운영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아카이브 200여 점과 구술 인터뷰로 구성된 기획전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을 9월 15일부터 2023년 2월 26일까지 과천관에서 개최한다.

국제무대에서 활동하던 백남준(1932-2006)은 1984년 35년 만에 고국을 방문하며 이후 한국에서의 활동 기반을 넓혀 나갔다. «다다익선: 즐거운 협연»은 텅 빈 공간에서 시작해 백남준의 가장 대규모 비디오 설치작품인 ‹다다익선›이 국립현대미술관에 설치되고 현재까지 운영되는 과정을 소장 아카이브 중심으로 보여주는 첫 기획전으로 그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즐거운 협연’이라는 부제는 백남준이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며, “고급예술과 대중예술이 함께하는 최초”이며, “신구세대 앙팡 테러블들의 즐거운 협연”이라고 설명한 표현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는 음악가, 무용가, 건축가, 엔지니어 등 수 많은 협력자들과 함께 작품을 만들어온 작가의 창작 태도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의미인 동시에, 국립현대미술관에 ‹다다익선›을 설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서로 협업했는지를 보여주는 이번 전시의 의도를 반영한다.

출품작 중 ‹한국으로의 여행 Trip to Korea›(1984)은 백남준이 1984년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서 취재진과 팬들에게 인사하고 마중 나온 가족들과 함께 선친을 모신 산소를 찾아가는 여정을 기록한 영상작품으로 그의 한국 활동의 서막이 오르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의미가 깊다. 이 영상을 시작으로 전시장에는 ‹다다익선›과 관련된 소장자료 200여 점과 ‹다다익선›과 관련 있는 인물들, ‹다다익선›을 설계한 건축가 김원, 백남준 작품 테크니션 이정성, 뉴욕에서 영상을 직접 제작한 폴 개린(Paul Garrin), ‹세계와 손잡고›의 한국 연출을 맡은 KBS PD 박윤행, 예산확보부터 행정을 총괄한 기계기사 남중희, ‘다다익선 모니터 운영요원’으로 오랜 시간 작품을 관리한 안종현, ‹다다익선› 최초 설치 당시 학예업무를 총괄한 전前 학예실장 유준상의 인터뷰를 연관된 아카이브와 함께 상영한다. 또한 4채널 영상작품인 ‹다다익선›을 위해 제작된 영상 8점을 처음으로 모두 상영한다.

‹다다익선›의 완공 이후 현재까지 34년 동안 작품을 운영해 오면서 발생했던 화재, 모니터 고장 등 운영상의 문제에 국립현대미술관이 어떻게 대처해 왔는지를 보여주는 기록과 연구 성과, 또 최근의 대대적인 보존·복원 과정을 한 편의 기록영상으로 제작해 다소 낯선 미디어아트의 보존 처리 과정을 관람객들에게 쉽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특히 백남준의 활동과 구술기록, 연주 등 아카이브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해 작가와 작품이 새롭게 해석되고, 관객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날치의 음악감독 장영규는 백남준이 직접 연주한 곡을 한국 고전설화의 주인공 심청과 춘향의 심경에 비유한 사운드 설치작품 ‹휘이 댕 으르르르르 어헝›(2022), 영상감독 이미지는 ‹바이 바이 얼리버드›(2022), 조영주는 이원 중계기를 이용한 라이브 퍼포먼스 ‹디어 마이 아티스트›(2022)를 신규 제작하고, 우종덕은 미디어아트의 복원을 주제로 한 미디어설치 작품 ‹다다익선›(2020), 이은주는 백남준의 지인으로서 백남준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포착한 초상사진과 미공개 음원 아카이브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게임형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다시, 다다익선›

한편, ‹다다익선›에 대한 다층적인 이해와 감상을 위한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 게임형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다시, 다다익선›을 9월 15일부터 2023년 2월 26일까지 선보인다. 가상에서 ‹다다익선›을 복원하고 가상의 신디사이저로 미디어아트를 창작해볼 수 있는 게임 형식의 온라인 교육으로 과천관 3층에 위치한 콘텐츠 참여공간 또는 웹사이트(www.themorethebetter.kr)에 접속하면 별도 신청 없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다다익선›의 제작 배경, 복원 역사, 영상에 담긴 백남준의 메시지 등 ‹다다익선›을 둘러싼 다층적인 이야기를 학습할 수 있으며, 지난 3년의 복원 과정을 거쳐 우리 곁에‘다시’ 돌아와 기계와 예술로 소통하며 세계의 평화와 화합을 바랐던 백남준 작가의 메시지를 돌아본다.

‹다시, 다다익선› 온라인 웹사이트에서는 ‹다다익선›의 보존·복원 사례 및 백남준이 일본인 기술자 아베 슈야와 함께 공동 개발한 영상 합성기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작동 원리를 기반으로 개발된 가상의 비디오 신디사이저가 구현된다. 가상의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활용해 백남준의 영상 제작 방식을 간접 체험하고 나만의 미디어아트를 창작할 수 있다. 완성된 창작 결과물은 ‹다시, 다다익선› 웹페이지‘갤러리’에 송출되어 과천관 콘텐츠 참여공간에 실시간 상영될 예정이다.

대규모 기획전 «백남준 효과» 및 국제학술심포지엄 ‹나의 백남준›

‹다다익선› 재가동을 계기로 전위적인 비디오아트의 영역을 개척한 백남준과 1990년대 한국 현대미술 영향관계를 심도 있게 조망하는 대규모 기획전 «백남준 효과»를 오는 11월 9일 과천관에서 개막할 예정이다. «백남준 효과»는 작가로서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문화 기획자이자 번역자로서 백남준이 한국 동시대 미술사에 남긴 발자취를 짚어보는 전시로, 백남준의 1990년대 대표작들을 포함하여 총 30여 명 작가들의 작품 120여 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전시는 백남준이 국립현대미술관과 합작하여 기획한«비디오때 비디오땅»(1992),«휘트니 비엔날레»(1993) 전시의 주제들을 차용하여 백남준의 주요 작품과 거장의 영향력 안에서 성장하여 한국 동시대 미술을 이끌었던 이후 세대 작가들의 작업들을 함께 조명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 현대미술의 역사에서 백남준이 만들어낸 효과를 확인한다.

또한 국내·외 전문가 9명이 참여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 ‹나의 백남준›을 11월 18일 과천관 대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주최하고, 재단법인 유중문화재단에서 후원하는 본 심포지엄은 백남준 탄생 90주년을 기념하고, 그의 생애 및 예술 업적을 조명한다. 백남준의 예술작업을 아카이브를 통해 조명하는‘백남준에 대한 기억’, 미술사, 재료 및 테크놀로지의 맥락에서 백남준 작품 보존에 대해 탐색하는‘미디어아트와 보존’, 백남준 예술의 영향과 후대 예술가의 과제에 대해 생각해보는‘백남준의 영향’을 주제로 한 각 세션(모둠)은 백남준 작가를 중심으로 한 다각적 해석 및 이해를 높이기 위한 각 발제자의 발표로 구성된다. 매 세션에 이어 심도 깊은 토론이 진행되며, 이를 통해 국내·외 ‘백남준 연구’의 현재와 미래를 살피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대강당에서 종일 대면으로 진행하며, 10월 이후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에서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세부 안내 및 접수 방법은 추후 누리집 공지)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백남준 작가의 대표작이자 과천관의 상징인 ‹다다익선› 재가동이 전 세계 백남준 작품 보존에 대한 이정표가 되길 기대”한다며, “백남준 작가의 생애 및 예술적 업적을 기리는 전시, 국제학술심포지엄 등 백남준 연구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환기를 통해 한국미술의 다양성을 전 세계에 전송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아트스크립트 : 예술을 위한 프로토콜
Artscript : Protocol for all kinds of Art.

Artscript, 아트스크립트 및 축약어 ARSC는 주식회사 포스트옐로우의 자산입니다.
Artscript, and ARSC is the property of Postyellow, inc.
Copyright 2020-2021. All rights reserved.

통신판매업신고 : 2021-서울마포-2628
Business license number : 523-87-01895
CEO : Youngdu Kim
Contact to : info@artscrip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