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전
전시서문 Exhibition Foreword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2018년 4월 3일부터 7월 8일까지 『유령팔』 전을 개최한다. 본 전시는 오늘날 작가들의 주요 창작 매체 중 하나로 자리잡은 가상 공간이 어떠한 방식으로 현실과 연결되고 어떤 맥락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마련된 전시이다.
디지털 환경은 예술가들의 사유, 인지의 과정과 예술가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공간까지 변화시켰다. 심혜련이 언급했듯이 디지털 공간이 '다른 일상공간' 으로 대체되면서 매체에 접속하는 시간이 급증함에 따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일들을 웹상에서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는 80년대생 작가들의 작품 형식과 이들의 창작 과정을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들에게 주어진 매체의 조건과 환경의 변화는 창작 기반이 되는 가상 공간과 현실의 경계를 흐림으로써 작품을 구현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실제적인 수단(작업실의 유무, 작품 운송 및 보관 등)과 방법의 소멸로 이어져 현실 구현, 즉 기존의 전시 작품의 의미와 작품 제작의 과정, 미술관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일처럼 일상적이고 반복되어왔던 것들을 재고하게 만들었다.
『유령팔』 은 이처럼 인터넷의 보급과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라 급변하고 있는 창작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작가들의 작품 구현방식과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새로운 감각과 고민을 살펴보고자 마련되었다. 참여작가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그들의 창작 환경의 근간이 된 디지털 기반 아래, '계정설정' '비공간성' '신체의 망각과 확장' 이라는 구체적인 설정들이 어떻게 작업과 매개하여 구현되는지 선보인다. 전시 제목 『유령팔 Phantom Arm』은 사지가 절단된 환자들이 환각을 통해 존재하지 않는 사지의 통증을 느끼는 신체 경험을 뜻하는 '환각 사지(phantom limb)', '환각 현상(phantom phenomenon)'에서 기인한 것으로, 전시는 앞서 언급한 매체 변화에 따라 작가들의 창작 환경이 모니터 너머로 확장되면서 그 안과 밖을 연결하는 신체의 동기화, 망각, 확장에 관한 비가시적인 연결성에 주목한다.
위 내용은 전시소개자료에서 발췌하였습니다. The above is an excerpt from the exhibit introduction.
데이터가 없습니다.